seq2seq 2

[Deep Learning] 어텐션 메커니즘 (Attention Mechanism) 아이디어 이해하기

전 포스팅에서 seq2seq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https://kingnamji.tistory.com/28) seq2seq의 인코더가 context vector를 만들 때 정보의 소실이 일어나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깊은 내용보다는 아이디어에 주목해 최대한 이해에 집중하겠습니다. 아이디어 어텐션(Attention)은 말 그대로 필요한 정보에 주목해 그 정보로부터 sequence 변환을 수행하는 구조입니다. 어텐션 매커니즘은 기계번역을 위한 seq2seq모델에 처음 도입됐습니다. 예시 필요한 정보에만 주목한다는 점을 seq2seq모델을 만들 때 사용한다고 하고 예시를 들어 봅시다. 한국어 "나는 고양이를 좋아한다."를 영어 "I like cats"로 번역한다면, 'cats'를 예측할 때..

[Deep Learning] seq2seq (Encoder - Decoder)

RNN을 응용한 seq2seq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seq2seq seq2seq(sequence to sequence)는 이름 그대로, 어떤 Sequence(시계열 데이터)를 입력 받아 다른 Sequence(시계열 데이터)로 mapping(변환)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RNN에서는 입력과 출력 sequence의 크기가 고정됐었지만, (입력 sequence의 크기는 패딩을 통해 동일한 크기로 만들어 주는 처리를 했었습니다.) 기계 번역이나 음성 인식과 같은 분야에서는 각 sequence에 대한 길이를 미리 알 수 없고, 가변적인 출력 sequence에 대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해 seq2seq을 사용합니다. 구조 seq2seq의 구조 예시입니다. 입력 'ABC'를 받아 'WXYZ'..